You are here

오티바

최신 수정일:
31.05.2023

살균제

원예용

Authorisation Number: 
제2-살균-316호
포장단위: 
100ml, 200ml, 250ml
원제 구성: 
작용기작 그룹: 
다3
제형: 
액상수화제

 

광범위 종합살균제로 우수농산물 생산

강한 침투이행성과 예방, 치료 효과로 다양한 병해에 등록되어 채소 농업인이 수확기에 근접하여 사용할 수 있어 우수농산물 생산을 지원합니다.

특징 및 이점

- 적용 가능한 작물과 병이 다양해서 동시 방제제로 사용 가능합니다.
- 예방효과와 치료 효과를 겸비해서 처리적기 폭이 넓습니다.
- 독특한 작용 기작으로 기존 약제에 저항성을 가진 균에 효과 탁월 합니다.
- 액상수화제로 약흔이 남지 않습니다.
- 버섯에서 추출한 항균활성물질을 이용해 개발하여 환경에 안전합니다.

적용대상 및 사용량 

분류 작물명 적용 병해 사용적기 및 방법 물 20L 당
사용량
안전사용기준
시기 횟수
채소류 과채류 고추(단고추류포함) 역병 장마직전 10일간격, 경엽처리 20ml 수확 3일 전까지 5회 이내
채소류 과채류 탄저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10ml
채소류 과채류 흰가루병 8ml
채소류 과채류 착색단고추 붉은썩음병 희석한 후, 포기당 관주처리
(150ml/주)
5ml 3회 이내
채소류 과채류 가지 갈색둥근무늬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10ml
채소류 과채류 흰가루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8ml
채소류 근채류 양파 노균병 수확 7일 전까지
채소류 근채류 열무 발생초기, 경엽처리 10ml 2회 이내
채소류 근채류 마늘 잎마름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8ml 수확 14일 전까지 3회 이내
채소류 근채류 인삼 점무늬병 10ml 수확 7일 전까지 4회 이내
채소류 근채류 탄저병
채소류 근채류 더덕 점무늬병 3회 이내
채소류 근채류 흰가루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채소류 근채류 탄저병
채소류 근채류 작약 흰가루병 발병초 7일간격, 경엽처리 수확 14일 전까지 2회 이내
채소류 근채류 탄저병 발병초부터 10일간격, 경엽처리
채소류 근채류 줄기썩음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채소류 근채류 황기 노균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3회 이내
채소류 근채류 흰가루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채소류 근채류 우엉 수확 7일 전까지 2회 이내
채소류 근채류 백수오(큰조롱) 점무늬병 수확 14일 전까지 3회 이내
채소류 근채류 점무늬낙엽병
채소류 근채류 탄저병
채소류 근채류 당근 검은무늬병
채소류 근채류 비트 점무늬병 20ml
채소류 근채류 검은무늬병 발병초, 경엽처리 10ml
채소류 근채류 잎마름병
채소류 근채류 탄저병 발병초기 7일간격, 경엽처리
채소류 근채류 생강 잎집무늬마름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수확 45일 전까지 1회 이내
채소류 근채류 수수 수확 14일 전까지 3회 이내
채소류 근채류 순무 노균병 수확 7일 전까지
채소류 엽경채류 검은무늬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5회 이내
채소류 엽경채류 녹병 발병초 7일간격, 경엽처리 8ml
채소류 엽경채류 파(쪽파포함) 노균병 10ml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채소류 엽경채류 아스파라거스 검은무늬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수확 3일 전까지
채소류 박과류 수박 덩굴마름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4회 이내
채소류 박과류 탄저병
채소류 박과류 흰가루병 8ml
채소류 박과류 역병 발병초 7일간격, 경엽처리
채소류 박과류 참외 노균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5회 이내
채소류 박과류 흰가루병
채소류 박과류 멜론 10ml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채소류 박과류 덩굴마름병
채소류 박과류 오이 노균병 발병초부터 7일간격, 경엽처리 수확 3일 전까지 4회 이내
채소류 박과류 탄저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채소류 박과류 흰가루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20ml
채소류 박과류 호박(단호박포함) 덩굴마름병 10ml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채소류 박과류 흰가루병
채소류 박과류 여주 점무늬병 수확 3일 전까지
채소류 박과류 호두 탄저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수확 120일 전까지 1회 이내
채소류 엽채류 곤달비 점무늬병 수확 7일 전까지 2회 이내
채소류 엽채류 흰가루병
채소류 엽채류 들깨(잎) 녹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수확 5일 전까지
채소류 엽채류 점무늬병
채소류 엽채류 노균병 발병초기 7일간격, 경엽처리
채소류 엽채류 들깨(씨) 발생초기, 경엽처리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채소류 엽채류 상추 흰가루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8ml 수확 7일 전까지 2회 이내
채소류 엽채류 갈색점무늬병 발병초기 10일간격, 경엽처리 10ml
채소류 엽채류 시금치 노균병 발병초 7일간격, 경엽처리
채소류 엽채류 점무늬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채소류 엽채류 참나물
(파드득나물포함)
발생초기, 경엽처리
채소류 엽채류 청경채 잿빛곰팡이병
채소류 엽채류 취나물 갈색무늬병 3회 이내
채소류 엽채류 흰가루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채소류 엽채류 점무늬병
채소류 엽채류 발생초기, 경엽처리 2회 이내
채소류 엽채류 쑥갓 잎마름병 발병초 7일간격, 경엽처리
채소류 엽채류 노균병 발병초기 7일간격, 경엽처리
채소류 엽채류 탄저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채소류 엽채류 양미나리(셀러리) 검은무늬병 수확 14일 전까지 3회 이내
채소류 엽채류 근대 노균병 발병초 7일간격, 경엽처리 수확 7일 전까지 2회 이내
채소류 엽채류 파세리(향미나리) 흰가루병 수확 14일 전까지 3회 이내
채소류 엽채류 미나리 녹병 발병초, 경엽처리 8ml 수확 7일 전까지 1회 이내
채소류 엽채류 뿌리혹병 파종 후 토양전면, 분무처리 20ml 파종직후
채소류 엽채류 왕고들빼기 흰가루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8ml 수확 14일 전까지 2회 이내
채소류 엽채류 갯기름나물 (식방풍) 흰가루병 10ml 수확 7일 전까지
채소류 엽채류 녹병
채소류 엽채류 당귀(잎, 뿌리) 줄기썩음병 발생초 7일간격, 분무처리 20ml 3회 이내
채소류 엽채류 머위 갈색점무늬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10ml 2회 이내
채소류 엽채류 흰가루병
채소류 엽채류 비름 탄저병
채소류 엽채류 케일 균핵병 발병초 7일간격, 경엽처리
채소류 엽채류 노균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채소류 엽채류 고들빼기 발병초 7일간격, 경엽처리
채소류 엽채류 흰가루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13.3ml
채소류 엽채류 고려엉겅퀴 (곤드레나물) 잎마름병 10ml
채소류 엽채류 흰가루병
채소류 엽채류 공심채 점무늬병
채소류 엽채류 로케트(루꼴라) 노균병 발병초기 7일간격, 경엽처리
채소류 엽채류 상추(양상추포함)
채소류 엽채류 양상추 갈색점무늬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채소류 엽채류 흰가루병 8ml
채소류 엽채류 어수리 점무늬병 10ml
채소류 엽채류 겨자채 흰가루병
채소류 엽채류 고사리 잎마름병 고사리순 수확이후, 경엽처리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채소류 엽채류 냉이 흰가루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수확 7일 전까지 2회 이내
채소류 엽채류 다채(비타민) 노균병
채소류 엽채류 돌나물 흰가루병
채소류 엽채류 배초향(방아) 탄저병
채소류 엽채류 쑥부쟁이 점무늬병
채소류 엽채류 씀바귀
채소류 엽채류 흰비단병
채소류 엽채류 아욱 흰가루병
채소류 엽채류 엉겅퀴
채소류 엽채류 치커리 노균병
채소류 엽채류 호프 수확 21일 전까지
채소류 결구엽채류 녹색꽃양배추
(브로콜리)
뿌리혹병 정식전, 관주처리(150ml/주) 8ml 정식기 1회 이내
채소류 결구엽채류 배추 정식당일, 관주처리(150ml/주)
채소류 결구엽채류 노균병 발병초 7일간격, 경엽처리 10ml 수확 14일 전까지 2회 이내
채소류 결구엽채류 흰가루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채소류 결구엽채류 부추 노균병 발병초 7일간격, 경엽처리
채소류 결구엽채류 흑색썩음균핵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채소류 결구엽채류 잎마름병
채소류 결구엽채류 양배추 노균병
채소류 산채류 냉이 발병초기 7일간격, 경엽처리 수확 7일 전까지
채소류 산채류 달래 잎마름병 발병초 7일간격, 경엽처리 수확 14일 전까지 3회 이내
과일류 감귤류 유자 탄저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수확 7일 전 까지
과일류 장과류 포도 노균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수확 14일 전까지 4회 이내
과일류 장과류 딸기 탄저병 수확 2일 전까지 3회 이내
과일류 장과류 구기자 발병초 7일간격, 경엽처리 수확 14일 전까지
과일류 장과류 복분자 점무늬병 수확 2일 전까지
과일류 장과류 무화과 역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20ml 수확 14일 전까지
과일류 장과류 탄저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10ml
과일류 장과류 뽕나무(오디) 오디균핵병 개화 5일전 및 개화 5일후,
경엽처리
과일류 장과류 산딸기 녹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수확 7일 전까지 2회 이내
과일류 장과류 점무늬병 발병초기 10일간격, 경엽처리
과일류 장과류 탄저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과일류 장과류 석류 수확 14일 전 까지 3회 이내
과일류 장과류 패션프루트 잿빛곰팡이병 수확 7일 전 까지
과일류 장과류 블루베리 탄저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과일류 핵과류 대추 발생초기, 경엽처리 2회 이내
과일류 핵과류 오미자 발병초 7일간격, 경엽처리 수확 14일 전까지 4회 이내
과일류 핵과류 자두 잿빛무늬병 20ml 3회 이내
과일류 핵과류 모과 붉은별무늬병 발병초기 10일간격, 경엽처리 10ml
과일류 핵과류 탄저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과일류 핵과류 참다래(키위) 수확 7일 전까지
과일류 열대과일류 망고 수확 14일 전까지
과일류 견과종실류 참깨 잎마름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수확 7일 전까지 5회 이내
과일류 견과종실류 흰가루병 발병초 7일간격, 경엽처리
과일류 유지종실류 순무유채 노균병 발병초기 7일간격, 경엽처리 2회 이내
두류 두류 땅콩 잎마름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3회 이내
두류 두류 탄저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수확 21일 전까지
두류 두류 자주무늬병
두류 두류 점무늬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두류 두류 노균병
두류 두류 탄저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수확 14일 전까지
두류 두류 녹두 잎반점병 수확 21일 전까지
두류 두류 점무늬병
두류 두류 메밀 발생초기, 경엽처리 수확 7일 전까지
두류 두류 흰가루병
두류 두류 율무 깜부기병
두류 두류 잎마름병
곡류 곡류 옥수수 깨씨무늬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수확 14일 전까지 2회 이내
곡류 곡류 깜부기병
곡류 곡류 기장 발생초기, 경엽처리 수확 21일 전 까지 3회 이내
곡류 곡류 도열병 수확 14일 전까지
서류 서류 고구마 검은무늬병 정식전 삽수, 침지처리(30분) 40ml 정식기 1회 이내
서류 서류 덩굴쪼김병 정식직후, 관주처리(1L/m2) 10ml
서류 서류 감자 겹둥근무늬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수확 14일 전까지 3회 이내
발병초 7일간격, 경엽처리 4회 이내
기타 기타 삽주 탄저병 발병초 10일간격, 경엽처리 수확 30일 전까지 3회 이내
화훼 화훼 장미 흰가루병 발병초 7일간격, 경엽처리 - -
화훼 화훼 노균병
화훼 화훼 배암차즈기
(곰보배추)
발병초기 7일간격, 경엽처리 수확 7일 전까지 2회 이내
화훼 화훼 민들레 흰가루병 발생초기, 경엽처리

기본 주의사항

독성구분

  • 저독성, 어독성II급

주의문구

  • 1. 이 농약을 섞어 뿌리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당해년도에 신젠타코리아(주)에서 제공한 농약혼용가부표를 확인하여야 하며, 혼용이 불가능하거나 혼용가부표에 없는 경우에는 절대로 섞어 뿌리지 마십시오.
  • 2. 인삼의 전엽기에는 약해의 우려가 있으므로 잎이 완전히 전개된 이후(6월 중순이후 : 중부지방기준)에 사용하십시오.
  • 3. 이 농약은 박과류(수박, 참외)가 유묘기 이거나, 또는 고온 과습한 조건에서 사용하면 약해의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 4. 이 농약은 침투성이 빠른 농약이므로 전착제류나 침투 촉진제 등과의 혼용 시 약해가 발생하오니 전착제류와는 혼용하지 마십시오.
  • 5. 이 농약의 살포액이 바람에 날려 인근 사과밭에 비산될경우 후지, 홍로, 쓰가루, 감홍, 양광, 홍월, 화홍, 홍옥, 세계일, 북두, 천추, 인도, 육오, 골든데리셔스, 스위트데리셔스, 스타킹데리셔스, 국광, 야다카, 헤크나인, 금성, 스타크림손, 조홍, 혜(메구미), 풍령, 정향, 추향, 오리올, 조나골드, 신홍(뉴조나골드), 초추, 스위트조나단, 하향쓰가루, 새나라, 미끼라이프, 이에다쓰가루, 청명, 추영, 시나노스위트, 라꾸라꾸(2001후지,미시마후지), 료까, 앙림, 카메오, 나리따, 핑크레이디, 화랑, 베니아이카, 고올후지, 기쿠8후지, 나가후12, 나가후6, 네브다, 로얄후지, 마이라레드후지, 미쓰즈쓰가루, 봉촌계후지, 선홍, 선후지, 알프스오또메, 축, 홍장군, 히로사키를 제외한 품종의 잎이 갈변하거나 낙엽이 되고 또한 과실에는 동녹 또는 낙과를 동반하는 품종 특유의 약해가 발생하므로 비산 등에 의한 살포액이 위 사과 품종 외에는 묻지않도록 충분히 주의해 주십시오.
  • 6. 이 농약을 살포하기 전,후에는 살포기구 및 살포 탱크 등을 반드시 깨끗이 씻으시고 이 농약을 살포했던 기구들을 이용하여 다른 농약을 사과에 살포할 경우 위의 사과 품종 이외에는 사용하지 마십시오.

사용방법

1. 이 농약은 사용하기 전에 병을 잘 흔들어 내용물이 잘 섞이도록 한 다음 소정량의 물에 잘 섞은 후에 전량을 물에 넣고 잘 저어가며 사용하십시오. 2. 이 농약은 발병직전 예방적으로 사용할 경우에 더욱 효과가 우수합니다. 3. 이 농약은 사용약량을 지켜 물에 희석한 후 분무기를 이용하여 작물에 충분히 묻도록 뿌리십시오. 4. 표기내용의 표시사항이 이해가 되지 않거나 의문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신젠타코리아㈜에 문의하십시오.

  • 중독증상이 있을 때는 즉시 작업을 중지하고 안정을 취할 것이며 의사의 지시를 받으십시오. 농약을 잘못하여 섭취하였을 경우 억지로 구토 시키지 말고 즉시 의사의 치료를 받으십시오. 눈에 들어 갔을 경우에는 즉시 흐르는 물로 10~15분간 깨끗이 씻어내고 안과의사의 치료를 받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