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술을 활용하여 방제하려고 하시는 분은 반드시 신젠타 코리아의 직원이나 관련교육을 받은 전문가로부터 기술자문을 받으시고 실시하시기 바랍니다.
적정물량 살포란?
목표
핵심기술
배경
![]() |
- 한국의 SS기 살포 모습 우리나라는 서유럽 국가들보다 살포물량이 10배가 많은 고물량(4,500ㅣ/Ha)의 살포로 많은 양의 약제가 사과나무가 아닌 사과과원 바닥에 떨어지거나 하늘로 비산되어 낭비되고 있다. |
![]() | 과원과 과원사이 또는 과원과 다른 농경지에 특별한 경계가 없는 경우가 많다. |
- 한국의 전형적인 농장의 모습 선진국에는 설치의무인 과원의 안전지대(Safety zone)이 한국에는 아직 까지 규제화 되고 있지 않다. | |
![]() | |
- 사용 노즐의 비효율성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SS기는 고압력으로 고운 입자를 살포하여 눈으로 보기에는 고루 방제가 되는 것처럼 느끼게 설계가 되어 있지만 작은 크기의 물방울은 식물체에 잘 부착하지않고 허공으로 비산되는 것들이 많아지게 되며 이렇게 비산된 물방울들은 일반적인 생각과는 다르게 다시 작물체에 떨어지지 않고 중간에 증발하여 없어지거나 주위의 냇가나 인가로 날아가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정 크기의 물방울이 노즐에서 생성되어야 가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저물량으로 조절될 경우 저비산 노즐로 교체하여야 약제의 효율을 높여 궁극적으로는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
국내기술현황

우리나라 사과산업은 M26 , 106, 일반대목을 이용한 키큰 사과나무 재배 방법에서 M9 대목을 이용한 저수고 밀식재배형 과원으로 급격한 전환이 이루어 지고 있는데 이에 따른 농약의 살포 방법과 기술들이 새로 개발 보급되어야 하지만 아직까지 초보적인 수준입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적정물량 살포 기술이 기계의 제조업체와 관련업계에 보급이 된다면 대농가와 선도농가에 빠르게 적용 보급될 것으로 생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농업기계화 연구소에서 “고효율 정전대전 농약살포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있었지만 농가에 보급하기위한 비용과 기술 등으로 앞으로도 많은 기술의 발전이 요구됩니다. 이에 저희 신젠타 코리아㈜에서는 2002년 부터 이를 도입하여 농가 실증을 통한 시험을 실시하여 왔습니다.
2002-2003년 시험결과 자료
살포의 평가방법 - 2가지로 평가하였다.
- 생물학적 평가 :
- 병해충의 방제 후 피해정도를 측정하여 결과적으로 생산량과 사과의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 물리적 평가 방법 :
- 농약의 잔류량을 측정하고 잎과 과일에 약제가 적정량, 그리고 얼마나 골고루 살포 되었는지 조사하는 방법
시험포장 - 시험포장의 포장도
![]() |
|
2002 부터 2003년까지 시험 된 두 포장 전경

약제의 살포와 조사방법

결과 분석과정

약제의 분포 현황

시험결과
- 1) 기존 살포기의 사용실태 및 문제점
- - 현재의 기계는 고물량 살포에 적합하게 되어있다.
- 현재의 기계는 지나치게 많은 바람을 일으켜 많은 양의 약제가 비산되거나 바닥에 떨어져 버린다
- 기존의 약제 살포의 경우, 살포자는 살포시에 아주 심하게 약액에 젖게 된다.
- 현재의 살포기로도 살포속도를 1 - 3.2 km/h범위로 조절이 가능하다.
- 고물량 살포는 많은 양의 비산으로 환경친화적 방법이 아니다.
- M9 사과원에서는 약 20%의 송풍이 필요 없는 곳으로 낭비되고 있다. - 2) 가능성
- -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로 적정물량 적합형 기계로 조절이 가능하다.
- 3) 저물량 살포의 장점 및 특징
- - 나무 윗쪽 도장지 부분이 가장 약액이 도달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 적정물량 살포법은 M9 대목의 신규 사과농원이 큰 사과나무보다 적용하기가 쉽다.
- 10배의 물량을 사용하는 관행물량과의 약제의 침적량은 오히려 저물량 살포구보다 적다.
(LVS로 살포한 처리구가 잎에 묻어있는 약량이 더 많다) - 4) 살포속도는 1 - 3.2 km/h로 조절이 가능하다.
- 5) 살포자는 살포시에 아주 심하게 약액에 젖게 된다.
- 6) 나무 윗쪽 도장지 부분이 가장 약액이 도달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 7) 저압력으로 살포하여도 사과나무 안쪽으로 약량의 도달양은 고압력과 같다.
이점
특징 | 이점 |
---|---|
살포시간이 적게 소요됨 | 1/3 에서 1/2 로 살포 시간을 줄일수 있다. |
저물량 | 탱크에 물넣는 횟수를 줄일수 있다. |
농약 희석시 농약에 노출되는 빈도를 줄일 수 있다 . | |
기계의 소모를 줄여 감가상각비 및 연료비 절감 효과가 있다. | |
고른 분포 | 같거나 더 좋은 방제효과. |
저 비산 | 환경 친화적 |
약성분의 유실을 방지 - 더좋은 방제 효과 |
적정물량 살포 가능 사과방제 프로그램
월/일 | 주요병해 | 주요해충 | 신젠타 사과 방제력(2004) | |||
---|---|---|---|---|---|---|
살균제 | 살충제 플러스처방 | 살충제 일반처방 | ||||
3월 | 25-30일 | 월동병해 | 사응알,면충,깍지 | 벤레이트 | 기계유 유제 | |
4월 | 25-30일 | 흑성,과심 | 사혹,잎말이,은굴장님노린재,나무좀 | 보가드 | 수프라사이드 | |
5월 | 05-10일 | 적성,흑성,과심,반낙 | 잎말이,복순,사응 | 아테미+유닉스 | 디밀린 | 디밀린+주움 |
5월 | 25-30일 | 반낙,갈반,부패,그을음 | 조팝,은굴, 점응,사응 | 아미스타 | 버티맥 + 디씨트론 | 아타라 |
6월 | 10-15일 | 부패,갈반,탄저,반낙,그을음 | 조팝,은굴, 점응,사응 | 비온엠 | 아타라 | 페로팔 |
6월 | 25-30일 | 부패,갈반,탄저,반낙,그을음 | 잎말이,복순,복심 | 보가드 | 수프라사이드 | |
7월 | 10-15일 | 부패,갈반,탄저,반낙 | 점응,사응, 복심 | 아테미+비온엠 | 아크라마이트+주렁 (+주움) | |
7월 | 25-30일 | 부패,갈반,탄저 | 복순,복심, 잎말이노린재 | 보가드 아미스타 (홍로) | 매치 | |
8월 | 10-15일 | 부패,갈반,탄저 | 점응,사응 | 아테미+비온엠 | 피라니카 | |
8월 | 25-30일 | 갈반,부패,반낙 | 복순,복심, 잎말이노린재 | 보가드 아미스타 (홍로) | 디밀린 | |
9월 | 10-15일 | 갈반,부패,반낙 | (심식,노린재)(응애) | 보가드 |
적정물량 실시 과정
1) 스프레이어의 형태

2) 다양한 노즐형태
- - 알맞은 형태와 size를 고려하여 장착한다.
(많은 물량이 필요한 방향은 노즐 수를 늘리거나 크기를 늘려 유동적으로 장착합니다.) - - 시험사용 노즐 - 저비산 노즐 (ID-90)
- 입자마다 거품이 함입되어 약제의 부착력은 높이고 비산은 막아주면서 저물량 살포가 가능하다.
3) 장비 최적화 - 순서
※ SS기와 노즐을 선택하였다면 이를 적정물량 살포에 맞도록 장비를 맞춰야 한다.이를 "최적화"라 한다.
- ① 계획(목표 물량등을 결정한다) ex:3000평당 1,000리터
② 살포기를 청소한다
(보통물량보다 노즐 사이즈가 적으므로 약통 및 순환 벨브등을 청소한다. - 이때 거름망 등을 새로 부착하여 살포도중 노즐이 막히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여 거름망을 설치한다.)
③ 기계의 성능을 체크한다.
④ 필요하면 고쳐서 사용한다.
⑤ 속도를 측정한다. - 보통 이동거리 100m당 속도측정
⑥ 분당 살포량을 측정한다. (압력을 조정 한 후)
⑦ 면적 등 포장에 알맞은 살포량을 측정한다. - 전문가와 경험자의 조언이 필요한 부분임
⑧ 감수지 등을 이용한 약액의 분포 확인
⑨ 자세한 사항을 기록한다
4) 적정물량 살포 실시 계획
- - 사과 과원의 체적 측정
전체 과원의 나무의 체적과 전체 잎사귀의 면적을 알아야 합니다.
이 정보는 필요 풍량과 경시변화에 따라 약량을 어떻게 증가시켜야 하는지를
알려주게 됩니다.- - 사과 과원의 체적 측정
재식간격 줄간격 = 3.8 m 나무간격 = 1.80 m 밀도 = 1462 주 /ha 측정일 5월 7월 수거 2.94 m 3.41 m 체적수고 2.57 m 2.95 m 평균지름 1.53 m 1.71 m 나무체적 10‘310 ㎥ 13‘276 ㎥ 엽면적지수 1.45 1.70 잎수/그루 4‘063 5‘116 평균1잎의
면적24.4 ㎠ 22.7 ㎠ - - 적정물량 목표물량을 정한다
- 측정 목표물양을 결정한다.
- 예를들어 관행적으로 4000 l/ha를 사용하는 과원에서 840 l/ha를 뿌리게 되는 과원의 예
살포물량 적정물량 살포 관행 840 l/ha 4000 l/ha 압력 9 bar 18.5 bar 노즐형태 One-piece (Hollow cone) Disc & Core (Hollow cone) 노즐크기 0.8 mm 1.2 mm 배출물량 /노즐 1개 1l/min 1.8 l/min 사용노즐 16 25 속도 3.0 km/h 2.0 km/h 재식 줄간격 3.8 m 4.5 m 분당 총 배출물량 16 l/min 45.0 l/min - - 물량 계산 공식
- - 살포기를 청결히 한다
보호 장비를 준비한다.
물과 비누를 이용하여 씻는다.
모든 조작기구를 깨끗이 한다.※ 적어도 탱크에 반정도의 물이 측정과 초기화에 필요합니다.
- - 기계의 기능을 점검한다. (2년에 1번씩 정기적 검사실시하고 매년 초 기계를 정비한다)
- ① 기구의 안전성과 외관조사
② 시동을 켜고 조사하는 사항
- 새는곳은 없는가? (보통사용 압력보다 높여서 체크한다)
- 모든벨브가 잘 작동하는가?
- 압력이 조절가능한가?
- 팬의 상태와 기능점검
- 약액이 잘 섞이고 있는가 확인
- 압력의 변화에 따라 압력계가 잘 따라 움직이는지 확인
- 노즐과 노즐의 간격과 고르게 분포하는지 확인
③ 필요하면 수리
- ① 기구의 안전성과 외관조사
- - 수리
- 적정물량 살포를 위해서는 노즐과 펌프 그리고 압력계가 가장 중요한 부품이다.
본격적인 살포가 시작되기전에 모든 장비는 수리하여야 한다.

- - 필요하면 수리 및 교체
- 적정물량 살포는 정교한 작업을 위해서 압력계가 필요하다.
적정물량 살포는 보통 압력의 반정도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필요하고 살포물량이 압력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정교한 압력계가 필요하다. - - 필요하면 수리
- - 운행 속도 측정 (1)
① 속도측정을 반드시 실시 ② 주행할 거리를 재고 표시를 해둔다.
(가능하면 먼 거리, 예 100M)③ 속도를 낮추는 구간도 생각해 두어야 함
④ 탱크에는 반정도의 물을 넣어 두고 측정 실시
- - 운행 속도 측정 (2)
- 측정된 거리를 주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다.
적어도 두번 반복하여 측정한다. - - 운행 속도 측정 (3)
- 측정후 평균 속도를 구한다.
- - 분당 살포량 측정 (1)
- 준비 기구 및 측정
① 배출물량이 비산되어도 해를 끼치지 않는곳으로 방향을 돌린다. ② SS기에 물로 채우고 공회전하여 물을 순환시킨다음, 탱크의 물높이를 표시해 둔다.
③ SS기는 상용 압력과 회전수에 맞춘다.
④ 호스를 노즐에 꼽아 배출되는 물량을 측정한다.
- - 분당 살포량 측정 (2)
- - 분당 살포량 측정 (3)
- 배출물량 계산 공식
적어도 두번 재측정 한다. - - 면적등 포장에 맞는 총 사용물량의 결정
- - 감수지를 이용한 약액 분포 확인
- 감수지를 이용한 측정방법
- 감수지를 목적하는 곳에 고루 붙이고 측정한다. (잎 앞뒷면에 감수지를 부착시킨다)
- 감수지를 잎에 붙인다. 또한 나무로 큰 틀을 짜서 설치하여 어느쪽에 약이 얼마만큼 도달하는지를 보여줄 수 있다.
- - 감수지를 이용한 약액 분포 확인
- 지를 이용한 측정방법(포장 실제 사진)
※ 감수지를 이용하여 단위면적당 추천 물방울 수를 측정하여 약액의 분포를 눈으로 확인한다.
LVS의 활용 예
장소 | 아돈, 웰리스; 스위스 |
---|---|
품종 | 후지 |
생산량 | 45‘000 kg/연/Ha(최대 60 ton/year/Ha) |
재배방식 | 방추형, M9 |
재배방법 | 줄간격 = 3.6 m; 재식거리 3.0 m (1.5 m), 수고 3.5 m |
주요병해충 | 흑성병, 진딧물, 나방류 |
살포기 | Axial fan sprayer, 1000리터탱크(Berthoud) |
살포량 | 330 l/ha; 7 bar, 5 km/h, 0.8 l/min, 14 개 Albuz HC-노즐 |
살포회수 | 12 ~ 14회/연 |
결과 | "병해충 방제에 문제없다“ |

- 스위스에서 재배되고 있는 후지 사과농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