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등멸구(White-backed planthopper)

 

학명
Sogatella furcifera


기주 및 분포
벼, 밀, 보리, 조, 옥수수, 수수, 사탕수수와 벼과 잡초가 기주이며, 대체로 벼멸구와 같은 지역에 분포한다.


생태
흰등멸구는 우리 나라 에서 월동하지 못하며, 벼멸구와 같이 장마와 더불어 외국에서 비래하여 발생한다.
알은 무더 기로 10여개씩 엽초조직 내부에 산란하며 난기간은 8 일 정도이고, 약충기간은 10일 내외이다.
비래시기에따라 매년 그 발생회수가 다르며 비래후 대체로 수회 발생을 한다.


피해
성충 및 약충이 직접 볏대를 흡즙하여 하엽이 누렇게 변색되고 생육이 나빠지며, 심하면 고사한다.
비래된 흰등멸구는 1세대를 경과하는 동안 충밀도가 높거 나 벼의 생육상태가 좋지 않으면 재분산하므로 집중 피해의 위험성은 벼멸구보다 적으나 논전면적에 고르게 분포하여 피해를 주 므로 해에 따라서는 벼멸구보다 더 큰 피해를 주는 경우도 있다. 이모 작으로 늦게 이앙하는 경우 피해가 심하다.


방제방법
흰등멸구는 비래해충이기 때문에 매년 발생량이나 피해에 있어서 차이가 크다.
그러므로 7월 하순~8월상순에 지도기관의 예찰정보에 따라 부락단위로 정기 방제를 해야 한다.
8월 중순~8월 하순에 벼멸구, 이화명나방, 혹명나방 동시 방제제로 약제를 살포하며 해안지역이나 남부지방 등 특히 멸구 증식이 잘 되는 지역에서는 8월 하순-9월 초에 멸구 전용 약제를 한번 더 뿌린다.